카카오의 자회사 넵튠이 지난해 인수한 온마인드라는 업체에서 유니티 엔진으로 디지털 아이돌 ‘수아를 개발하였다. 수아는 전년 11월부터 현재도 유니티 코리아의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요즘에는 SNS 등을 통해 계속적으로 소통하여 틱톡 팔로워 수가 8만 4000명을 넘어설 정도로 20대와 90대 사이에서 큰 호기심을 받고 있습니다.
수아가 이러한 대다수인 호기심을 받고 있는 건 가상 캐릭터를 볼 때 대부분 느끼는 ‘불쾌한 골짜기가 아예 느껴지지 않는 실제 사람같이 순조로운 그래픽에 있습니다. 유니티 엔진의 HDRP를 기반으로 제작돼 사실적인 피부, 수많은 표정 등 정교한 고해상도 그래픽을 자랑끝낸다.
유니티에서는 수아와 똑같은 하이엔드 콘텐츠부터 여러 반 실사, NPR(NonPhotoRealistic), 스마트폰, 2D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휴먼을 제작할 수 있는 툴과 에셋(Asset)들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리소스 다운로드 웹사이트인 에셋 스토어상에서 다양한 에셋들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무궁무진한 리소스로 수아와 동일한 프로젝트처럼 실사급의 고품질 그래픽 구현이 가능하다.
베셀린 에프레모프가 각본과 감독을 맡은 시작간 단편 영화 더 헤러틱(The Heretic)의 주인공인 가웨인은 유니티를 제작으로 개발된 캐릭터다. 디지털 휴먼을 개발하는 것은 요즘세대와의 상호작용 등을 하는 인공지능(AI) 측면도 있지만, 비주얼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쾌한 골짜기라고 하는 어색한 느낌이 없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피부, 모발, 치아, 눈 셰이딩과 똑같은 각각의 요소에 따라 해결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들이 있으며 최대로 힘든 부분은 얼굴의 움직임을 매우 미세한 부분까지 구현해 내는 것이다. 더 헤러틱은 4D를 사용해 이와 같이 부분들을 극복할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휴먼이 중대한 이유는 결국 이용자들이 원하는 형태으로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한다는 특징에 기인완료한다. 회사가 필요하는 이미지 그 자체의 디지털 휴먼을 제작하는 게 가능할 만큼 비주얼 구현에 한계가 없으며, 이런 방식으로 제작된 디지털 휴먼을 콘텐츠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기업이 최고로 필요로 하는 부분에 자유분방하게 활용 가능하다.
디지털 휴먼 시장은 메타버스 기술이 성장함에 따라 확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플랫폼과 기술 기업 중심의 메타킥보드 사업은 향후 버추얼 인플루언서 등 콘텐츠 중심으로 경쟁력이 판가름 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은 간단히 새로운 버추얼 인플루언서를 지속 선보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이나 캐릭터가 가진 스토리와 세계관을 통해, 가상이지만 인생력 있는 존재로서 MZ세대와의 공감대와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이 될 백링크 것이다.